이미지 처리

이미지 처리를 사용하면 알고리즘에 따라 이미지를 조작할 수 있습니다. Google Web Designer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미지 처리 작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미지 처리에는 SVG 이미지가 지원되지 않습니다.

이미지를 선택하고 '수정' > '이미지 처리' 아래에서 메뉴 명령을 사용하거나 이미지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팝업 메뉴에서 '이미지 처리...'를 선택하여 '이미지 처리' 대화상자를 엽니다. 대화상자 내에서는 모든 이미지 처리 작업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작업을 적용한 후 이미지가 처리되기 전과 처리된 후의 모습을 확인하려면 '실행취소' '다시 실행' 버튼을 사용하세요. '취소'를 클릭하여 모든 변경사항을 실행취소하고 대화상자를 종료할 수도 있습니다.

이미지를 만족스럽게 수정했으면 '저장'을 클릭하세요. 처리된 이미지는 파일 이름에 고유한 서픽스(예: image_1.png)가 추가되어 라이브러리에 새 애셋으로 저장됩니다.

자동 보정

자동 보정은 이미지의 밝기, 대비, 채도를 조정합니다.

자동 보정을 적용하려면 '자동 보정' 버튼을 클릭하세요.

원본 이미지 수정한 이미지

인페인팅

인페인팅은 원하지 않는 객체를 덧칠하여 주변 영역처럼 보이게 합니다. 다음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하여 인페인팅할 영역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 '영역 선택' 컨트롤을 사용하여 원하는 영역 주위의 상자를 선택합니다.
  • '영역 그리기' 컨트롤을 사용하여 원하는 영역을 그립니다. '크기' 슬라이더를 사용하면 그리기 도구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인페인팅은 선택 또는 그리기를 완료하는 즉시 적용되지만, 마우스를 놓기 전에 Esc 키를 눌러 취소할 수 있습니다.

원본 이미지 인페인팅한 이미지

이미지 확장

이미지를 확장하면 추가 영역이 이미지의 나머지 부분처럼 보이도록 생성된 콘텐츠로 채워집니다. 이미지는 어느 면으로든 너비 또는 높이의 20%만큼 확장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확장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르세요.

  1. 다음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하여 확장 영역을 정의합니다.
    • '컨트롤' 패널에서 이미지의 각 면을 확장할 픽셀 수를 지정합니다.
    • 이미지 주위의 핸들을 드래그하여 확장 영역의 크기를 조절합니다.
  2.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원본 이미지 확장된 이미지

주체 추출

주체를 추출하면 이미지에서 전경 객체가 감지되고 배경이 투명해집니다. 최종 이미지는 투명도를 지원하기 위해 PNG 형식으로 저장됩니다.

  1. '영역 선택' 컨트롤을 사용하여 주체가 포함된 이미지 영역을 선택하거나 전체 이미지를 선택합니다. 배경(주체로 감지되지 않은 이미지 부분)은 어두운 빨간색으로 표시됩니다.
  2. '선택 범위에 추가' '선택 범위에서 삭제' 컨트롤을 사용하여 주체로 포함 또는 제외할 부분을 그려서 선택 범위를 구체화합니다.
  3. 크기 슬라이더를 사용하면 추가/제거 도구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4.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원본 이미지 추출된 주체

자르기

자르기를 사용하면 원치 않는 가장자리를 제거하고 이미지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이미지를 자를 수 있습니다.

  1. 가로 세로 비율 드롭다운에서 잘린 이미지에 적용할 너비의 비율을 선택합니다.
    • 맞춤: 자르기 영역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 원본: 원본 이미지와 가로 세로 비율이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 숫자 비율을 사용하면 Google Web Designer에서 선택한 비율에 맞는 자르기 선택 범위를 제안합니다.
  2. 필요에 따라 자르기 선택 범위를 수동으로 조정합니다.
    • 자르기 선택 범위의 가장자리를 따라 핸들을 드래그하여 선택 범위의 크기를 조절합니다. 선택한 가로 세로 비율이 적용됩니다.
    • 크기가 변경되지 않도록 선택 범위를 드래그하여 이동합니다.
  3.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원본 이미지 잘린 이미지

도움이 되었나요?

어떻게 하면 개선할 수 있을까요?
검색
검색어 지우기
검색 닫기
기본 메뉴
14857079943602086400
true
도움말 센터 검색
true
true
true
true
true
5050422
false
fal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