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

사무실 복귀 전략을 세우고 있나요? Chrome OS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알아보세요.

ChromeOS 기기 디버그 로그 수집하기

이 도움말은 ChromeOS 기기를 관리하는 IT 관리자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관리 ChromeOS 기기에 문제가 발생하면 네트워크 로그 및 로그 분석기를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로그를 수집한 후 로그 분석기 도구가 자동으로 로그를 검사하면 결과를 검토하여 문제를 해결하세요. 이 로그는 문제 해결을 위해 지원팀에 문의해야 하는 경우에도 유용합니다.

네트워크 로그 수집하기

로그는 /var/log 디렉터리에 저장되며 브라우저의 주소 표시줄에 file:///var/log를 입력하여 로그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var/log의 내용 및 하위 디렉터리를 .tgz 압축 파일로 내보내는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려면 ChromeOS 기기 로그 수집 방법을 참고하세요.

로그 분석기를 사용하여 로그 검사하기

로그 분석기는 관리되는 ChromeOS 기기의 기기 로그를 검사하는 로그 파서입니다.

로그 분석기를 사용하여 ChromeOS 기기 디버그 로그를 검사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르세요.

  1. 로그 분석기로 이동합니다.
  2. 다음 중 한 가지 방법을 사용합니다.
    • 디버그 로그의 내용을 입력란에 붙여넣습니다.
    • 로그 파일을 업로드합니다.
  3. 로그 소스 드롭다운 목록에서 Chrome OS 기기 로그를 선택합니다.
  4. 분석을 클릭합니다.

분석이 완료되면 로그 분석기는 보고할 내용이 없다고 표시하거나 로그에서 추출한 내용을 설명과 함께 표시합니다. 경우에 따라, 이 내용에는 자세한 정보를 찾을 수 있는 링크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도움말: 로그는 기기의 수명 기간 전체를 다루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 시기를 알아내서 내용을 더 쉽게 검색할 수 있습니다.

  • 로그 분석기 출력에 ieee80211_reasoncode가 있으면 Cisco® Support Community 등과 같은 타사 사이트에서 이러한 코드가 어떤 의미가 있는지 자세히 확인하세요.
  • 등록 오류로 인해 기기 관리 서버 요청 코드가 로그에 기록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서버 오류 코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기기 관리 오류를 참조하세요.
수동으로 로그 읽기

수동으로 로그 읽기는 최후의 수단으로만 이용해야 합니다. 먼저 로그 분석기를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해 보세요. 기기 로그를 직접 검사하려는 경우 아래의 정보를 가이드로 활용하세요.

디버그 로그 파일 구조

파일 설명
file:///var/log/bios_info.txt

기기의 하드웨어 ID 및 모델은 파일 상단에 있으며 다음과 같이 표시됩니다.

vendor | coreboot
version | Google_Stout.2817.52.0
release_date | 02/13/2013
size | 1024 KB
ro bios version | Google_Stout.2817.52.0
Boot switch status:
Recovery button: released
Developer mode: not enabled
RO firmware: protected
Boot reason (0): normal
Boot firmware: A
Active EC code: RW
file:///var/log/boot.log

부팅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됩니다.

file:///var/log/eventlog.txt

기기가 켜진 시간 또는 꺼진 시간 등과 같은 시스템 이벤트를 표시합니다.

file:///var/log/messages

커널에서 또는 커널로 보내는 메시지가 포함됩니다.

file:///var/log/net.log

이 로그는 기기가 올바른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네트워크에 전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하며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됩니다.

  • :ERROR: 또는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까지의 시간(분)을 검색하는 기능
  • yyyy-mm-ddThh:mm:ss 패턴의 타임스탬프

net.log의 예

다음은 기기에서 사용 가능한 2.4GHz 및 5GHz 무선 네트워크가 검색되었음을 보여주는 라인입니다.

2014-04-02T12:12:27.407032-04:00 localhost wpa_supplicant[881]: mlan0: freq=2437 MHz
2014-04-02T12:15:02.342071-04:00 localhost wpa_supplicant[815]: mlan0: freq=5220 MHz

이 로그의 뒷부분에는 액세스 포인트의 MAC 주소, 신호 주파수, 잡음 및 신호 수준, 신호 대 잡음 비율을 비롯하여 사용 가능한 연결의 강도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가 있습니다.

6c:f3:7f:41:3d:50 freq=2412 qual=0 noise=-89* level=-61 snr=28 flags=0xb
6c:f3:7f:41:3d:51 freq=2412 qual=0 noise=-89* level=-62 snr=27 flags=0xb
6c:f3:7f:41:3d:59 freq=5220 qual=0 noise=-92* level=-70 snr=22 flags=0xb
6c:f3:7f:41:3d:58 freq=5220 qual=0 noise=-92* level=-71 snr=21 flags=0xb

이 로그에는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가 선호도 순으로 나열되므로 원하는 네트워크에 기기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유용합니다.

ChromeOS 기기는 특정 기준을 충족하는 최상의 네트워크를 선택하려고 시도합니다. 이 예에서는 기기가 5GHz 네트워크가 아닌 2.4GHz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ChromeOS 기기가 2.4GHz 네트워크에서 신호 대 잡음 비율(28/27 대 22/21)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평가하여 이 네트워크에 대신 연결했다는 내용이 로그에 표시됩니다.

file:///var/log/secure

샌드박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됩니다.

file:///var/log/tlsdate.log

시스템 업데이트 날짜를 확인하기 위한 이벤트 순서를 표시합니다.

file:///var/log/update_engine.log

이 로그는 기기가 업데이트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합니다. 또한 서버의 응답을 비롯하여 업데이트를 위한 기기와 omahaproxy 간의 통신에 관한 정보를 보여 줍니다.

file:///var/log/chrome/Crash Reports

이 폴더에는 해독하기 어려울 수 있는 Chrome 비정상 종료 관련 정보가 포함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Chrome 다운에 대한 문제해결을 참조하세요. 비정상 종료 보고서 정보는 chrome://crashes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Chrome 폴더에 가장 최근에 저장되는 파일의 이름은 chrome으로 지정되며 이전의 파일에는 타임스탬프가 표시됩니다.

타임스탬프 형식: 타임스탬프에는 몇 가지 상위 수준 운영체제 및 브라우저 렌더링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file:///var/log/metrics

쉽게 파싱할 수 있는 간단한 키=값 형식의 로그 측정항목이 포함됩니다.

file:///var/log/power_manager

전원 관리자가 수행하는 작업에 대한 정보가 포함됩니다.

file:///var/log/ui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그래픽에 대한 문제 레코드가 포함됩니다.
file:///var/log/update_engine Chrome은 오래된 업데이트 로그 파일을 이 폴더로 이동합니다. 최신 업데이트 로그의 이름은 /update_engine.log로 지정됩니다.
file:///var/log/xorg 하드웨어 및 시스템 정보가 포함됩니다.
관리 콘솔에서 추가 기기 로그 수집하기

관리 ChromeOS 기기에 문제가 발생하면 Google 관리 콘솔의 기기 세부정보 페이지에서 추가 로그를 캡처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ChromeOS 기기의 원격 로그 수집을 참고하세요.

도움이 되었나요?

어떻게 하면 개선할 수 있을까요?

도움이 더 필요하신가요?

다음 단계를 시도해 보세요.

검색
검색어 지우기
검색 닫기
기본 메뉴
6451161957419682549
true
도움말 센터 검색
true
true
true
true
true
410864
false
false